Professor’s Greeting

김 익 수 교수

연구실 : LG-Posco 경영관 315호

T E L : 3290-1940

F A X : 3290-2531

E-mail : iksu@korea.ac.kr

Homepage : http://zaijian.net

본인이 ‘중국’을 처음 접하고 연구를 시작한지도 어언 25년여가 흘렀다. 연구를 시작할 당시만 해도 중국은 ‘죽의 장막’ 에 가려 세계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4반세기 동안에 고속성장을 거듭한 끝에 지금은 세계 정치·외교, 경제, 문화의 중심에 우뚝 서게 되었다. ‘중 국’ 은 이제 21세기 세계경제의 핵심 엔진이 되었고, ‘Pax-Sinica’ 시대의 개막에 맞춰 중국 연구의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중국 개혁·개방의 향후 전망에 관해서는 대체로 낙관론이 우세하다. 사회주의 체제, 정치, 문화적 측면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경제 시스템이 개혁되고 중국 시장이 대외에 개방되고 있기 때문에 점차 시장경제로 이행해갈 것이라는 것이다. 2001년 말 중국의 WTO 가입은 이 같은 변화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다만, 중국 거시경제의 전망에 관해서는 ‘비관론’ 과 ‘낙관론’ 이 교차하고 있다. ‘비관론’ 은 글로벌 금융위기, 중국 경제 자체의 구조적 모순(부동산 버블, 부실금융, 인건비상승 등) 때문에 성장 모멘텀이 약해지고 있어 90년대의 9.6% 고성장 궤도에서 벗어나 최악의 경우 6% 미만으로 성장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견해다. 반면, 낙관론은 일시적인 대외변수의 약화에도 불구하고 내수비중이 큰 중국 경제는 7.5~8%대의 속도로 성장할 것이고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것이다.

어떤 전망이 맞을지는 두고 봐야 하지만, 대외무역 의존도가 83%에 달하는 우리의 입장에서 13억 시장을 가진 중국경제의 향방은 국가는 물론 기업에게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중국 정치, 사회, 문화, 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여 차이나 리스크(China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기회(Business opportunities)를 극대화해야만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1996년 창립되어 중국의 경제, 산업, 시장을 국제경영(International Business)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업의 진출전략과 현지경영전략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고려대학교 내 유일한 중국경영전략학술동아리인 ‘SBC(Secrets Behind China)’ 는 독보적인 차별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앞으로 중국이 날로 거대화하고 글로벌화됨에 따라 동아리의 발전잠재력과 회원흡인력도 커질 것이라 확신한다.

젊은 학도들에게 대학 생활은 生에 있어서 미래를 위해 자신의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아무쪼록 중국에 관심이 있는 우수한 인재들이 많이 들어와 중국에 대해 발표ㆍ토론하고, 훌륭한 선후배 동료들과 네트워킹을 하면서 보다 넒은 시야에서 중국에 관한 지식을 쌓고 통찰력을 기르길 바라는 바이다.

문은 두드리는 자에게 열리는 것이다.

약력

<학력>

고려대학교 경영학과(학사)

영국 옥스퍼드대학 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약력>

재학 중 제 19회 행정고시 합격(1976. 11)

행정자치부(당시 총무처) 행정사무관 (1977. 5 – 1981. 12)

산업연구원(KIET) 특수지역실 중국 담당 연구원 (1984. 7 – 1986. 8)

제 2회 John Swire & Sons Scholar로 선발, 도영 유학 (1986. 9)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 (1989)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1991. 3 – 1995. 2)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1995. 3 –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중국지역 주임교수(1996. 9 – 1997. 12)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무역학과장 겸 대학원 무역학과 주임교수(1997. 2 – 1999. 1)

고려대학교 아시아경영센터(Center for Asian Business) 소장 (1997. 2 – 1999. 1)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국제경여 주임교수(1998. 2 – 1999.1)

Unversity of Hawaii, 경영대 교환교수(1999. 7 – 1999. 8)

U.C. Berkeley (Center for Chinese Studies), 초빙교수 (2001. 9 – 2002. 8)

Freeman Foundation Fellow to Session 423

‘China and the Global Economy’ of the Salzburg Seminar (2004. 12. 9 – 16)

Freeman Foundation Fellow to Salzburg Seminar ‘East Asia-The U.S:

A Search for Common Values’ (2007. 6. 8 – 13)

고려대학교 총무처장 역임 (2007. 3. 12 – 2008. 1. 31)

<수상경력>

매일경제 정진기 언론문화상 경제/경영 우수도서 부문 장려상 수상 (2000. 7. 12)

(수상작 : [중국투자론: 이론과 실제], 1999. 9, 박영사간)

총장 석탑강의상 : 수상과목_2004년 1학기 학부 지역인구1; 2006년 1학기 학부 지역연구1;

2008년 1학기 일반대학원 지역연구

대학민국 학술원 사회과학(경영학) 부문 우수학술도서로 선정(2005. 8.19)

(선정작: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과 사례] (박영사간)

대학민국 학술원 사회과학(경영학) 부문 우수학술도서로 선정(2007. 8.2)

(선정작: [현대중국의 이해] (나남출판사간)
<학회활동>

제6대 현대중국학회 회장 (2003. 9. 1 – 2004. 12. 31)

국제경제학회 사무국장 (2004. 3 – 2005. 2)

한국국제경영학회 이사 (2004. 3 – 현재)

한중사회과학 학회 고문 (2008. 3 – 2009. 2)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겸 편집위원 (1997. 3 – 2007. 2)

한국국제통상학회 이사(2004. 3 – 현재)

한국협상학회 이사 (2008. 1 – 현재)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부회장 역임 (2003. 3 – 2004. 2)

현대중국학회 수석부회장 역임 (2002. 9 – 2003. 8)

국제경영관리학회 부회장 역임 (2001. 3 – 2002. 2)

국제경영학회 감사 역임 (2003. 3 – 2004. 2)

한국동북아경제 연구간사 및 이사(1995 – 1999. 12)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중국 및 환황해 경제분과 위원장(2000. 3 – 2003. 8)

<사회활동>

매일경제 [매경이코노미] 창간 29주년 제1463호 선정 <한국의 경영대가 29인> 중 19위로 선정(2008. 7. 9)

산학협동재단 사회과학 분야 학술연구 심사평가위원(2007. 9 ~ 현재)

제 6차 한독 학술포럼(독일 뮌헨) 발제

“Resurgence of the Chinese Economy: Is It a Boon or a Threat to the Korean Economy?”

(2007. 10. 18 ~ 20)

2007년 한-중수교 15주년 기념 북경 개최 ‘베이징 포럼’ 토론자(2007. 5. 29-30)

Moderator to China Session (The Outlook of China 2009), the 9th World Knowledge Forum

(매일경제 주최), 2008. 10. 15, Sheraton Walkerhill Hotel.

Moderator to China Session 1 (Success Factors for Business in China), the 7th World Knowledge Forum

(매일경제 주최), 2006. 10. 18.

Moderator to China Session (Rise of China as a Global Economic Power), the 1st World Knowledge Forum

(매일경제 주최), 2000. 10. 18-19.

현대 기아차 중국시장 연구회 자문위원 (2007. 1 – 3월; 2008. 10 – 12월)

전경련(FKI) China Forum 경제분과 자문위원(2003. 7 – 현재)

한국무역협회 한중무역포럼 위원 (2006 – 현재)

동북아연구(NEAR) 재단 발기위원 (2006. 10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가풀 중국연구 분과 전문위원(2006. 1 – 현재)

[조선일보]‘차이나 칼럼’ 고정필진(2005. 3. 30 – 2005. 10. 30)

[세계일보]‘경제비평’ 고정필진(2007. 5. 1 – 2008. 2. 29)

강연 및 중국진출 자문: 전경련, 삼성전자, SK 그룹, 현대차 등 다수

<교내활동>

경영대전문대학원 최고경영자(AMP)과정 주임교수(2009. 2 – 현재)

경영대 ‘중국경영전략학회’ S.B.C(Secrets Behind China) 지도교수(1996 – 현재)

경영대 ‘미래 기업가들의 모임’ F.E.S(Future Entreprenuer’s Society) 지도교수(1996 – 현재)

고려대 중국학연구소 중국경제연구실장 (2003. 4 – 현재)

아세아문제연구소 평위원회 위원(2008. 12 – 현재)

고대 영자신문사, The Granite Tower; 운영위원 (2004. 9 – 현재)

‘중국-대만-홍콩 지역’ 국제인턴쉽 주임교수(1995 – 2001. 8)

경영대 행정고시반 ‘탁마정’ 지도교수(1996 – 2001. 8)

금호그룹 위탁 교육과정 주임교수(2000. 4 – 2000. 12)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 주임교수(2002. 9 – 2004. 2)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운영위원(2004. 9 – 2006. 8)